봉봉의 개인 블로그
2017-04-26-E 본문
update, delete 해보기.
list.jsp 파일에서 59 60 번과 같은 a 문장를 만들어준다. 그런다음 각각
수정버튼과 삭제버튼을 만들고 수정버튼은 m_upate_form.jsp 파일로
삭제 버튼은 m_delete_pro.jsp 로 넘어가게끔 만들어주는데
여기서 중요한건 get 방식으로 name이라는 변수에 m_id의 값을 담아서 넘어간다.
그다음 update 먼저 보자면
10과 11번과 같이 받아준후 send_id에 담아줍니다 .그런다음
각각
connection preparedstatement resultset 타입으로 12 13 14 번과 같이
import 도 해줍니다.
참조 변수를 선언하고 그안에 null 값을 넣어줍니다.
그런다음 15번에서 드라이버를 연결시켜준다
그런다음 try finally문을 적은다음에 안에 22부터 26번까지와 같이 DB와 연결시켜 줍니다. 그런다음 28~29번과 같이
DB안에 쿼리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그런다음 30번 문과 같이 쿼리를 실행해주고 그 실행 결과를 변수에 담아줍니다.
그다음 위에 16~20번 문과같이 try문밖에 변수를 선언한다 이렇게 하면 56~83과같이 화면에 뿌려줄때 사용할수 있게된다.
쿼리 실행을 해준후에 catch 문과 finally 부분을 적어서 객체와 커넥션을 종료시켜줍니다.
그다음 스크립트립 화면에 뿌려줍니다 56~83번 문과 같이 그다음
수정화면에서 버튼을 누르면 넘어갈수 있게끔 56번과 같이 적어서 넘겨줍니다 m_update_pro.jsp로 데이터를 넘겨줍니다.
그다음 m_update_pro.jsp 로 넘어오게 되면
이런식으로 문을 작성해 줍니다.그런다음 먼저 넘어온 데이터를 받아주는 문장을 만들어줍니다 13~23번문과 같이 만들어준다음에 10~11문처럼 참조변수를 선언해주면서 import 해줍니다.
그런다음 25번 문과 같이 드라이빙과 연결해주고 try fanally 문을 적어서 그안에 DB와 연결해주고 36~42번과 같이
쿼리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해줍니다. 그다음 45번에서 쿼리를 실행해주고
49~52번문과 같이 객체를 종료하고 커넥션도 종료시켜줍니다.
그다음 delete 를 해보자면
list.jsp 파일의 60번 줄과같이 아이디 값을 넘겨서 m_delete.jsp 파일로 값을 넘겨줍니다.
과 같이 작성을 해줍니다.
먼저 넘겨운 id 의 값을 받아주고 변수에 값을 할당하고 13번과 같이 드라이빙을 연결해줍니다.
그런다음 import 를 해준다음 11 12 번과 같이 참조변수를 선언하고 그언에 null 갑승ㄹ 담아줍니다.
그다음 try finally 문을 적고 그안에 DB와 연결하고 21 22번 문과 같이쿼리실행을 위한 준비를 해줍니다 .그다음
24번문에서 쿼리를 실행해주고 마찬가지로 finally 문을 이용해서 객체를 종료하고 커넥션도 종료시켜줍니다.
'학원에서 배운것들 > TEA - E'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4-28-P (0) | 2017.04.28 |
---|---|
2017-04-27-P (0) | 2017.04.27 |
2017-04-25-E (0) | 2017.04.25 |
2017-04-24-E (0) | 2017.04.24 |
2017-04-19-E (0) | 2017.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