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그래밍 (202)
봉봉의 개인 블로그
그림과 같이 다른 클래스 안에서 데이터를 셋팅하고 다시 겟팅 할수도 있다. 위 그림을 설명하자면User클래스 데이터 타입으로 u01 객체 참조 변수를 선언한다User생성자 메서드를 통해서 새롭게 객체 생성한다.새롭게 생성된 객체의 주소값을 u01 객체 참조 변수에 할당한다.u_print 메서드를 호출한다.u01 객체 참조변수에 저장된 주소값 1이 매개변수 getu에 할당된다.getu할당된 주소값 1을 찾아가서 데이터를 겟팅한다.겟팅된 데이터를 출력한다.u01 객체 참조 변수 안에 저장된 주소값 1을 찾아가서 데이터를 빨간 네모칸 처럼 셋팅한다.다시 u_print 메서드를 호출한다.메서드가 실행되어 출력됩니다.User 클래스 데이터 타입으로 u02객체참조변수를 선언한다.User 생성자 메서드를 통해서 새롭..
return 2번째 return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리턴받고 호출받는다. 이런식의 구조를 응용해서 따로 만들어 본다. 이런식으로 만들어서 6번과 같이 호출안에 호출을 할수있고 메서드 선언 2개를 해서 호출을 각각다른 호출을 할수도 있다. *return 된 데이터 값은 ******호출된 곳으로****** return 된다.
return 이용해서 하기 java1 프로젝트를 생성한다그안에 kr.or.ksmart.A 패키지를 만든다그런다음 login1 클래스를 만든다사진과 같이 적어서 만들어 준다 . 그렇게 되면 이제 이런 실행 창이 뜨게 되는걸 볼수잇다. 실행 순서에 대해서 서술하자면 처음 login_check 메서드 호출한다그런다음 login_check 메서드를 실행시킨다.메서드를 실행하고 콘솔창에 출력한다.그런다음 출력된 값을 리턴한다 즉 저기서는 re = "로그인 성공" , re = "비밀번호 불일치"re = "아이디 불일치" 등을 리턴하여login_check 에 다시 리턴하여 호출한다.또한 String 데이터 타입에 result변수를 선언하고 login_check 의 리턴된 값을 담는다.그런다음 if(result.equ..
1. 기본 데이터 타입JAVA에는 8개의 기본 데이터 타입 (Primitive data types)이 있다.정수타입 : byte , short , int , long부동 소수점 타입 : float , double부울 데이터 타입 : boolean문자 데이터 타입 : char (1) 정수와 부동 소수점byte 는 8비트로 , 0과 1을 표현하는 1비트의 8자리이다.byte - 8비트 , short - 16비트 , int - 32비트long - 64비트 , float - 32비트 , double - 64비트 (2) 명시적 데이터 값 (literal)java 에서의 정수 리터럴을 int 타입이다.long 타입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숫자 끝에 L이나 I을 붙여준다. (3) 문자char 리터럴은 단일 인용 부호로 ..
01 java 기초 하나의 클래스 리턴 없는 메서드 선언 호출 자바 기초 문법 하나의 package / 하나의 class 에서 메서드 선언 및 호출 방법 이해하나의 package / 서로다른 class 에서 메서드 선언 및 호출 방법 이해서로다른 package / 서로다른 class 에서 메서드 선언 및 호출 방법 이해 3*4=12하나의 package / 하나의 class 에서 메서드 선언 및 호출 방법 이해 1. 하나의 package / 하나의 class / return 없고 / parameter 갯수 없는 메서드 선언및 호출2. 하나의 package / 하나의 class / return 없고 / parameter 갯수 있는 메서드 선언및 호출3. 하나의 package / 하나의 class / retu..
html에서 입력 받은 한글을 JSP 파일로 넘길 경우에 한글이 깨지는 경우가 있다. 먼저 get방식 으로 했을때 깨질 경우는 tomcat이 설치된 경로에서 conf/server.xml 에 URIEncoding="euc-kr" 이라는 애트리 뷰트를 추가해줘야한다. 다음으로 POST방식 으로 했을 때 깨질 경우는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을 써준 다음에 파라미터들을 사용해야한다. 밑에 화면은 request.setCharacterEncoding("euc-kr") 을 주석 처리 하였을때의 화면과주석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의 화면이다. 이와 같이 html로 부터 입력받은 한글 문자가 깨지는 것을 알수 있다. 다른 부분은 한글이 잘나오는 것은hi.jsp 파일 자체에 맨..
03회원 및 상품 관리 (약간 진짜처럼)만들기 위해서 test라는 폴더를 만들고 그 안에 test_form.jsp와 test_action.jsp를 만든다 그런다음 생성된 test_form.jsp 와 test_action.jsp안에 코드를 4번까지 지우고 test_form.jsp 파일안을 이런식으로 채운다. 그리고 나서 test_action.jsp 부분을 이렇게 채워주고 test_form.jsp 을 실행하고 가입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이런식의 실행 결과를 확인할수 있으며 또한 이클립스에서 console 부분을 확인하게 되면 값이 들어가고 있다는걸 볼수있게 된다 저기서 출력부분과 아래 아이디,비번,이름 등 없이 실행하게 되었을때는 실행햇을때는 보이지 않지만 console에 값이 담겨 있는걸 확인할수있다. 그리..
Get방식과 Post 방식은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서버에 요청을 할 때 사용하는 방식입니다.이 두가지 방식에는 어떤 차이가 있느냐? 1. URL 노출 Get은 전송 요청 URL에 파라미터에 정보를 담아서 서버로 보냅니다. 로그인으로 예를 든다면, 내가 입력 폼에서 ID와 Password를 입력했고, 로그인 버튼을 누름으로써 서버에 이 정보를 보내는데, 이때 만약 Get방식을 사용한다면 요청을 보내는 URL 주소 뒤에 파라미터 값이 노출되어 전송됩니다. 위 사진에서처럼 16진수로 값이 전송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Post 방식은 다릅니다. URL에 노출되지 않고 Http body 안에 포함되어 전달됩니다. -> 이 가시적인 부분때문에 Get이 Post보다 보안 측면에서는 더 낫다고 하지만..
*404에러는 경로 에러이다.* htmllayout24에 있는 user_insert_form.jsp 와 user_list01.jsp가 있는데 user_insert_form.jsp에 *뒤의 action=user_list01.jsp은 가입버튼을 눌렀을때에 user_list01.jsp로 넘어가게 된다. 아래와 연결해서 43번 부분은 가입버튼을 만드는 부분인것이다.* 37번 부분 처럼 바꾸었을때 method="post"부분이 없게 되면 get 처리 방식으로 넘어가게 된다. get처리 방식으로 실행을 해봤을때는 http://localhost:8080/htmllayout24/user/user_list01.jsp?u_id=&u_pw=&u_name=&u_phone=&u_email= 처럼 가입 버튼을 눌렀을때의 주소창에..
1. 절대경로이미지의 절대적인 경로로 지정하는 방식입니다.